루이텐의 별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루이텐의 별은 태양 질량의 약 1/4, 반지름은 태양의 35% 정도인 적색 왜성이다. 이 별은 M3.5 V 분광형으로, 주계열성이며, 자전 속도는 매우 느리다. 루이텐의 별은 현재 태양계에서 멀어지고 있으며, 약 13,000년 전 태양계에 접근했었다. 2017년에는 루이텐의 별 주위를 공전하는 두 개의 외계 행성 후보가 발견되었으며, 이후 2개의 행성이 더 발견되어 총 4개의 행성으로 구성된 행성계를 가지고 있다. 특히 루이텐 b는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한 슈퍼지구로 주목받고 있다. 2017년에는 METI 프로젝트를 통해 루이텐의 별을 향해 전파 신호가 전송되기도 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작은개자리 - 프로키온
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,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. - 작은개자리 - 고메이사
고메이사는 지구에서 약 162광년 떨어진 작은개자리의 B8 분광형 주계열성으로, 맨눈으로 관측 가능하며 빠른 자전 속도와 가스 원반을 가진 Be 별이자 밝기가 변하는 SPBe 별이고, 170일 주기의 쌍성일 가능성이 있다. - 국부 거품 - 백조자리 61
백조자리 61은 11.36광년 거리에 있는,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'베셀의 별'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. - 국부 거품 - 스트루베 2398
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(스트루베 2398 A, 글리제 725 A)와 HD 173740(스트루베 2398 B, 글리제 725 B)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. - 적색왜성 - 카노푸스
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있는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로, 태양보다 1만 배 이상 밝은 F형 초거성이며, 고대부터 항해와 우주 탐사에 활용되어 온 중요한 천체이다. - 적색왜성 - 황새치자리 AB
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,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, B와 C,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.
루이텐의 별 | |
---|---|
위치 정보 | |
![]() | |
명칭 | |
명칭 | 루이텐의 별 |
로마자 표기 | Luitenui Byeol |
영어 명칭 | Luyten's Star |
식별 정보 | |
별자리 | 작은개자리 |
겉보기 등급 | 9.872 |
분광형 | M3.5V |
U-B 색지수 | 1.115 |
B-V 색지수 | 1.571 |
변광성 여부 | 없음 |
관측 정보 | |
시선 속도 | 17.35 ± 0.19 km/s |
고유 운동 (적경) | 571.232 mas/yr |
고유 운동 (적위) | -3691.487 mas/yr |
연주 시차 | 264.1269 mas |
연주 시차 오차 | 0.0413 mas |
절대 등급 | 11.94 |
물리적 특성 | |
출처 | PozuelosSuárez2020 |
질량 | 0.29 M☉ |
반지름 | 0.293 ± 0.027 R☉ |
광도 | 0.0088 L☉ |
표면 온도 | 3,382 ± 49 K |
표면 중력 | 5 |
금속 함량 ([Fe/H]) | 0.09 ± 0.17 |
자전 주기 | 115.6 ± 19.4일, ~99일 |
나이 | 80억 년 이상 |
기타 명칭 |
2. 특징
루이텐의 별은 태양 질량의 약 1/4, 반지름은 약 35%인 M형 적색왜성이다. 분광형은 M3.5 V로,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주계열성이다. 자전 속도는 초당 1km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, 표면 활동의 주기적인 변화를 통해 약 116일의 자전 주기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. 유효온도는 약 3150 켈빈으로, 적색-오렌지색 빛을 뿜는다.
2. 1. 물리적 특성
루이텐의 별은 태양 질량의 약 1/4, 반지름은 태양의 35% 정도이다. 이 별의 질량은 적색왜성이 완전히 대류층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 최대 질량에 해당하며, 별 내부 대부분이 확장된 대류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. 분광형은 M3.5 V로, 광도분류 V는 이 별이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주계열성임을 나타낸다.이 별의 자전 속도는 너무 느려서 측정하기 어렵지만, 초당 1 킬로미터를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. 항성 표면 활동의 주기적인 변화를 통해 자전 주기는 대략 116일로 추정된다. 별 바깥쪽 대기층의 유효온도는 3150 켈빈으로, 이는 M형 별의 특징인 적색-오렌지색 빛을 띠게 한다.
2. 2. 위치 및 이동
루이텐의 별은 현재 태양계에서 멀어지고 있다. 약 13,000년 전에는 태양계에 3.67 파섹까지 접근했었다.현재 프로키온에서 약 1.2 광년 떨어져 있다. 만약 루이텐의 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면, 이 행성에서 밤하늘의 프로키온은 금성 밝기와 비슷한 −4.5 등급으로 빛날 것이다. 약 600년 전에는 프로키온에 1.12 광년까지 접근했었다.
루이텐의 별의 공간 속도 요소는 U = +16, V = -66, W = -17 km/s이다.
3. 행성계
2017년 3월, 루이텐의 별을 공전하는 두 개의 외계 행성 후보 글리제 273 b와 글리제 273 c가 발견되었다. 2019년에는 시선속도법으로 두 개의 외계 행성 후보 글리제 273 d와 글리제 273 e가 추가로 발견되어, 총 4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.
동반천체 | 질량 | 공전궤도 반지름 | 공전주기 | 궤도이심률 | 궤도경사각 | 반지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 | ≥1.18 ± 0.16 M⊕ | 0.036467 ± 0.000002 | 4.7234 ± 0.0004 | 0.17 | ~72°–90 | — |
b | ≥2.89 ± 0.26 M⊕ | 0.091101 ± 0.000017 | 18.6498 ± 0.0052 | 0.10 | ~72°–90 | — |
d | ≥10.8 ± 3.5 M⊕ | 0.712 ± 0.062 | 413.9 ± 4.3 | 0.17 | ~72°–90 | — |
e | ≥9.3 ± 3.9 M⊕ | 0.849 ± 0.083 | 542 ± 16 | 0.03 | ~72°–90 | — |
2017년 10월, 메시징 외계 지능 (METI)와 소나르가 주관하는 "Sónar Calling GJ 273b" 프로젝트는 노르웨이 Ramfjordmoen에 있는 전파 안테나로 일련의 전파신호들을 루이텐의 별을 향해 전송했다. 이 신호는 메시지를 해독하는 과학적/수학적 튜토리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여러 음악가들이 만든 곡 33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했다. 2018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2차 신호를 전송했다. 만약 루이텐 계의 누군가가 이 신호를 들은 뒤 신속하게 답신을 보낸다고 가정하면 답신을 받는 시간은 2036년이 될 것이다.
3. 1. 글리제 273 b
글리제 273 b는 항성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위치한 슈퍼지구이다. 지구 질량의 약 2.89배이며, 공전 주기는 약 18.65일이다. 항성으로부터의 입사광속은 지구의 1.06배로, 물과 대기가 존재한다면 생명체가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일 가능성이 있다. 다만 행성의 알베도에 따라 균형 온도는 206 ~ 293 켈빈 사이에서 형성될 것이다.글리제 273 b는 생물권 안을 돌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외계 행성들 중에서도 지구로부터 손꼽히게 가까운 곳에 있다.
동반천체 | 질량 | 공전궤도 반지름 | 공전주기 | 궤도이심률 | 궤도경사각 | 반지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 | 1.18 ± 0.16 M⊕ | 0.036467 | 4.7234 ± 0.0004 | 0.17 | — | — |
b | 2.89 ± 0.26 M⊕ | 0.09110 ± 0.00002 | 18.650 ± 0.006 | 0.10 | — | — |
d | — | — | ||||
e | — | — |
3. 2. 글리제 273 c
글리제 273 c는 지구 질량의 약 1.18배로,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된 행성 중 질량이 매우 작은 축에 속한다. 공전 주기는 약 4.72일이다.동반천체 | 질량 | 공전궤도 반지름 | 공전주기 | 궤도이심률 | 궤도경사각 | 반지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 | 1.18 ± 0.16 M⊕ | 0.036467 | 4.7234 ± 0.0004 | 0.17 | — | — |
b | 2.89 ± 0.26 M⊕ | 0.09110 ± 0.00002 | 18.650 ± 0.006 | 0.10 | — | — |
d | — | — | ||||
e | — | — |
3. 3. 글리제 273 d 와 글리제 273 e
2019년 시선속도법으로 외계 행성 후보 '''루이텐 d'''(GJ 273 d)와 '''루이텐 e'''(GJ 273 e)가 추가로 발견되어, 루이텐 별을 공전하는 행성은 모두 4개로 늘어났다.
3. 4. 행성계 구성 (표)
동반천체 | 질량 | 공전궤도 반지름 | 공전주기 | 궤도이심률 | 궤도경사각 | 반지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 | 1.18 ± 0.16 M⊕ | 0.036467 | 4.7234 ± 0.0004 | 0.17 | — | — |
b | 2.89 ± 0.26 M⊕ | 0.09110 ± 0.00002 | 18.650 ± 0.006 | 0.10 | — | — |
d | M⊕ | — | — | |||
e | M⊕ | — | — |
4.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
2017년 10월, METI와 소나르 (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음악제)가 주관하는 "Sónar Calling GJ 273b" 프로젝트는 노르웨이 Ramfjordmoen에 있는 전파 안테나로 일련의 전파 신호들을 루이텐의 별을 향해 전송했다.[8] 이 신호는 메시지를 해독하는 과학적/수학적 튜토리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여러 음악가들이 만든 곡 33개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했다. 2018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2차 신호가 전송되었다. 만약 루이텐 계의 누군가가 이 신호를 들은 뒤 신속하게 답신을 보낸다고 가정하면, 답신을 받는 시간은 2036년이 될 것이다.
참조
[1]
simbad
BD+05 1668
2023-10-29
[2]
논문
A Faint Star of Large Proper Motion
[3]
학술지
The narrowest M-dwarf line profiles and the rotation-activity connection at very slow rotation
[4]
학술지
Stellar encounters with the solar system
http://www.aanda.org[...]
[5]
서적
The Brightest Stars: Discovering the Universe Through the Sky's Most Brilliant Stars
John Wiley and Sons
[6]
학술지
Rotation and chromospheric activity in field M dwarfs
[7]
웹사이트
ARICNS star page of GJ 273
http://www.ari.uni-h[...]
Astronomisches Rechen-Institut Heidelberg
2020-06-27
[8]
뉴스
How to send a message to another planet
https://www.economis[...]
2017-11-16
[9]
arxiv
GJ 273: On the formation, dynamical evolution and habitability of a planetary system hosted by an M dwarf at 3.75 parsec
[10]
문서
[11]
서적
The Brightest Stars: Discovering the Universe Through the Sky's Most Brilliant Stars
https://archive.org/[...]
John Wiley and Sons
2008
[12]
웹인용
Annotations on LHS 33 object
http://cdsannotation[...]
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
2010-04-21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